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원형부정사2

사역동사 make,have,let +목적격보어(원형부정사/과거분사)feat.준사역동사 get,help 영어 문법을 배우다보면 여러가지 동사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문법적인 요소나, 독해의 면에서도 다 중요한 사역동사에 대해 알아볼게요. 사역동사의 종류 make,have,let 이 3가지만 사역동사입니다. 그러면 이 3가지가 무조건 사역동사로 쓰이느냐? 그건 아닙니다. 해석이 사역으로 되어야 사역동사인데요. 사역은, 문장의 주체가 자기 스스로 행하지 않고 남에게 그 행동이나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5형식에서 쓰이는 이 사역동사는 목적어를 목적격보어 하게 만들다. 라고 해석됩니다. 사역으로의 해석은 : ~하게 만들다. ~하게 시키다. ~하게 허락하다. 이렇게 해석이 되어야 사역동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글에서는 "엄마가 나를 청소하게 만들었다." -> 사역으로의 쓰임이죠! make라는 동사를 .. 2023. 8. 24.
목적어/목적격 보어 자리 TO부정사/V-ing(동명사)/분사/원형부정사를 취하는 동사 (3형식,5형식) 5형식 문장 구조에서 O.C(목적격 보어)자리엔 TO부정사,V-ing(동명사) 어떤걸 넣어줘야할까요? 정답은 바로 동사에 의해 결정 된다는 것 ! 특정 동사들이 왔을 때 O.C 자리에 TO부정사가 들어가기도, 동명사가 들어가기도 한답니다. *여기서 3형식과 헷깔릴 수 있습니다. 3형식 S+V+O에서 목적어 자리에 TO부정사/V-ing(동명사)를 쓸지 동사를 보고 골랐던 것처럼, 5형식에도 비슷한 맥락이에요. 3형식에서는 동사를 보고 목적어를 골랐고/ 5형식에서는 동사를 보고 목적격 보어를 고른다. 이 차이입니다. 같은 동사들도 있지만 다른 동사들도 있으니 구분해서 외워둬야합니다. 3형식에서 목적어 자리에 to 부정사나 동명사가 올 수 있는 동사들은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습니다. 동사 + to부정사(목.. 2023. 8.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