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수동태로 쓰이지 않는 동사(자동사) 동사구의 수동태 , by+행위자를 생략하는 경우 , by이외의 다른 전치사를 사용하는 경우

by 단아스토리 2023. 7. 28.
반응형

수동태로 쓰이지 않는 동사와 예문

 

수동태로 쓰이지 않는 동사는 일반적으로 주체(subject)가 동작을 수행하는 능동태(active voice)로 사용되는 동사입니다. 수동태(passive voice)는 동작의 대상(object)이 주체가 되는 문장 구조를 갖추고 있지만, 능동태에서는 주체가 동작을 직접 수행합니다.

수동태는 능동태의 목적어가 주어가 되기 때문에, 목적어가 없는 자동사는 수동태 전환이 불가합니다.
여기 대표적인 1형식 자동사가 있는데요

1형식 자동사는 주어와 함께 쓰일 때 뒤에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를 말합니다.

여기에 10개의 1형식 자동사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arrive (도착하다) - "The train arrives at 9 AM." (기차가 오전 9시에 도착합니다.)

2.happen (일어나다) - "An accident happened on the highway."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3.sleep (자다) - "I sleep well at night." (저는 밤에 잘 자요.)

4.laugh (웃다) - "The children laugh at the funny jokes." (아이들이 재미있는 농담에 웃습니다.)

5.rain (비가 오다) - "It rains heavily today." (오늘 비가 많이 옵니다.)

6.shine (빛나다, 비추다) - "The sun shines brightly in the sky." (태양이 하늘에서 밝게 빛납니다.)

7.run (달리다) - "She runs every morning for exercise." (그녀는 운동을 위해 매일 아침 달립니다.)

8.talk (말하다) - "The teacher talks about the lesson." (선생님이 수업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9.work (일하다) - "He works at a company in the city." (그는 도시의 회사에서 일합니다.)

10.cry (울다) - "The baby cries when she's hungry." (아기는 배고플 때 울어요.)

이러한 동사들은 일반적으로 주어와 함께 사용되며, 따로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1. 자동사 : happen,appear,disappear

Something unexpected happened. -> Something unexpected was happened. (X)2. 소유나 상태,감정을 나타내는 동사 : have,fit(~에 어울리다.),resemble,like,hate.He has a car. -> A car is had by him. (X)*여기서 주의 할 점은 HAVE가 먹다,(시간을)보내다. 로 해석될 때는 수동태 전환이 가능합니다. 가지다.라는 소유의 의미를 나타낼 때 수동태 전환이 되지 않는 것 입니다 ✔EX) These shoes are fitted me well. -> (X) These shoes fit me well. (O)

 


일단 동사구(이어동사)에 종류에 대해 알아볼게요.

1. laugh at : ~을 비웃다.
2. put off : ~을 연기하다.(미루다.)
3. look after : ~을 돌보다.
4. take care of : ~을 돌보다.
5. look up to : ~을 존경하다.
6. look down on : ~을 얕보다.
7. run over : (차가) ~를 치다.
8. bring up : ~을 기르다.(양육하다.)

"The children will be taken care of by their grandparents while their parents are away."
(부모님이 여행을 간 동안 아이들은 조부모님들이 돌봐 줄 것입니다.)

이 문장에서 "be taken care of"는 주체가 아이들이며, 동작의 대상은 부모님이 됩니다.
"by their grandparents"는 동작의 수행자를 나타내는 부사구로, 조부모님들이 돌봐준다는 뜻을 전달합니다.


"The meeting was put off until next week."
(회의가 다음 주까지 미뤄졌습니다.)

이 문장에서 "was put off"는 회의가 누군가에 의해 미뤄졌음을 나타내는 수동태입니다.
누가 회의를 미뤘는지에 대한 정보는 문장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며, 주로 문맥에서 알 수 있습니다.


"She is looked up to by all her colleagues for her dedication and leadership."
(그녀는 헌신적이고 리더십이 있는 점으로 모든 동료들에게 존경받고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 "is looked up to"는 주체가 "그녀(She)"이며, 다른 사람들이 그녀를 존경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동태입니다. 누가 그녀를 존경하는지는 문장에서 명시되어 있으며, 주로 "by all her colleagues" 부분에 해당 정보가 포함됩니다.


"The cat was run over by a car yesterday."
(고양이가 어제 차에 치여졌습니다.)

이 문장에서 "was run over"는 주체가 "고양이(The cat)"이며, 고양이가 차에 치여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동태입니다.
누가 고양이를 치은 차인지는 문장에서 명시되어 있으며, 주로 "by a car" 부분에 해당 정보가 포함됩니다.


수동태 문장은 주로 주체(subject)가 동작의 수행자를 생략하고 대상(object)에 집중하는 문장 형태입니다.
행위자 생략은 문장을 더 간결하고 명료하게 만들어주는 동시에 특정 행위자의 정보를 감추거나 강조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1. 정보 감추기와 강조 수동태에서 행위자를 생략함으로써 특정 행위자의 정체를 알리지 않거나 감춤으로써 문장의 강조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행위자를 미리 알려주지 않고 상황에 따라 나중에 밝힐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합니다.
감추는 경우: "The cookies were eaten." (쿠키들이 먹혔다.)
강조하는 경우: "The cookies were eaten by the kids." (쿠키들이 아이들에 의해 먹혔다.)


2. 주체가 중요하지 않을 때 때로는 주체가 무엇인지 강조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수동태를 사용하여 동작의 결과에 더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The new bridge was completed ahead of schedule." (새로운 다리가 예정보다 빨리 완공되었다.)

3. 문맥에 의한 유추 행위자가 문맥으로부터 쉽게 유추될 수 있는 경우에도 생략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행위자를 명시적으로 언급하는 것이 문장을 더 무거워지게 할 수 있습니다.
"The book was written in the 19th century." (그 책은 19세기에 쓰여졌다.)

4. 행위자의 확실한 정체 없음 때로는 행위자가 정확히 누구인지 알 수 없는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수동태를 활용하여 문장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The car was stolen last night." (자동차가 어젯밤에 훔쳐졌다.)

5. 일반성과 범용성 강조 행위자를 생략하는 것은 문장을 일반적이고 범용적으로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학술적 논문이나 공식적인 문서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Results were observed in various experiments." (다양한 실험에서 결과가 관찰되었다.)

수동태에서 행위자를 생략하는 것은 문장의 구성과 의미를 조절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행위자를 생략할 때에는 문맥과 강조할 내용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더 간결하고 명료한 문장을 작성하며, 독자들에게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